1) 디지털 러닝 프로그램
■ 디지털 러닝은 다양한 디지털 학습 도구를 HRD와 융합해 보다 몰입되고, 빠르게 체득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자이로볼을 활용한 'D+XYZ', 온라인 게임을 활용한 'Challenge24', 플랫폼을 활용한 미니게임&소통, 아바타 캐릭터가 직접 참여하는 '메타버스' 등
대면&비대면 모든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도구 기반의 프로그램을 '교육 목표'에 맞도록 기획/운영 합니다.
2) 디지털 러닝: Metaverse HRD Project
■ 디지털 러닝은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해 다양한 방향의 기획/설계가 가능합니다.
Metaverse HRD Project 사례
: LG인화원,GS리테일,HD현대 등 많은 대기업이 샘소타(SAM.SOTTA)의 교육 노하우와 기획을 통해 최고의 교육 과정을 개발하고 성과를 만들었습니다.
■ 메타버스 러닝(Metaverse Learning)
메타버스는 HRD에 있어 또 하나의 학습도구입니다. 소비하는 트랜드로 보지 않고, 보다 깊이 있게 성과적 시각으로 보아야 합니다.
업무효율성과 교육시간의 효율화가 필요한 현 HRD 시장에서 이를 가장 잘 실현해 낼 수 있는 최적화 사례와 노하우, 연구 성과를 반영합니다.
100여개 이상의 프로젝트로 축적 된 메타버스 러닝 노하우로, 함께 고민하고 부담 없이 자문 해드리겠습니다.
✏ 메타버스 기획 > 설계 > 디자인개발 > 운영 > 결과 보고
📋 ZEP & GATHERTOWN 기획/개발 사례 샘플
ZEP 접속 데이터 통계 전용 스크립트 개발 지원
실시간 모니터링 전용 데시보드 제공
일별/시간별/맵 단위 별 접속자 통계, 시각화 그래프 제공 등 스크립트 기반 구축 후 전용 웹페이지 지원
🔫 ZEP Script 개발로 맞춤형 기능 제공
미션 / 퀘스트 / 교육 / 포인트 획득 / 캐릭터 변경 / 타임어택 / 랭킹시스템 등 등
[🍬 OPEN🍬 ] 연말 기업 이벤트 / 행사 / 송년의 밤 / 신년 행사 전용 메타버스 가상세계 오픈!
🍹 ZEP 메타버스 테마 별 전용관 대관 서비스
기업명 / 배너 / 공간 커스텀 지원, 기획 / 프로그램 지원
메타버스 체험, 미션 맵 제작, 메타버스 커스텀 프로그램
메타버스 활용 교육 프로그램 (액티비티,팀빌딩,회의,워크숍 등)
즐거움이! 품격이! 행복이! 샘솟다! 샘소타에서 개발한 다양한 컨셉의 전용관으로 의미있고 즐거운 행사를 기획하세요!
(IT) Gamification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Universe(유니버스)’와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Meta(메타)’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세계를 뜻한다.
메타버스 세계는 그 동안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이라는 말로 표현되었는데, 현재는 진보된 개념의 용어로서 메타버스라는 단어가 주로 사용된다.
이 용어는 원래 닐 스티븐슨의 1992년 소설 ‘스노 크래시(Snow Crash)’로부터 온 것이다.
요즘은 완전히 몰입되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 현실 업무 뒤에 놓인 비전을 기술하는 데 널리 쓰인다.
가상공간의 서로 다른 등장인물들은 사회적이든 경제적이든 소프트웨어의 대리자들(아바타로서)과 인간적 교류를 하고 현실세계의 은유를 사용하지만 물리적으로 제한은 없다.
Metaverse Project News
아바타로 활 쏘고 퀴즈 풀고…이게 게임이야 역사수업이야 (feat: SAM.SOTTA)
백제 품은 가상누리터: 충남공주교육지원청
“공산성은 웅진백제의 왕궁이죠. 백제는 왜 웅진으로 수도를 옮겼을까요?”
지난 15일 오후 1시10분 충남 공주시 신풍초등학교에선 5~6학년 아이들의 통합 사회과목 수업이 시작됐다. 학생이라야 아이들 11명이 전부였다. 사회 담당 한솔 교사가 전자칠판에서 ‘공산성’ 수업 창을 열자 성의 서문인 금서루 앞에 아이들의 아바타가 나타났다. 성안으로 들어가려면 활을 쏴 암호를 얻어야 한다. “쓩쓩쓩~” 순식간에 과녁을 다 맞히고 성문을 통과했다. 아이들은 책상에 앉아 있는데 모니터 안 아바타들은 뛰고, 달리고, 성벽과 누각을 오르내렸다.
“금서루 앞으로 오세요. 수문장 교대식을 보고 왕궁터 주변의 유물들을 상호작용(클릭)해봅시다.”
교사의 지도에 따라 금서루를 클릭하자 수문장 교대식 영상이 나타났다. 영상을 다 본 아이들이 연꽃무늬 수막새 등 유물들과 접촉해 스탬프를 수집했다. 5개의 유물 스탬프를 다 모으자 빈터에 왕궁이 지어졌다. “오오~” 아이들이 탄성을 질렀다.
(중략)
기사 원문보기: https://www.hani.co.kr/arti/area/chungcheong/1117455.html